새만금 탄소 중립, 해조류 블루카본에서 답을 찾다 개발 동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 포럼 3번째 해조류 산업 분야 과제 논의 서병배 기자 news@sisatopic.com |
2024년 10월 11일(금) 14:09 |
새만금개발청 |
이날 포럼에는 해조류 분야 전문가인 원광대학교 최한길 교수가 참석해 해조류 산업 동향과 시장 성장 가능성 및 스마트 육상양식 기술 도입의 필요성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최한길 교수는 최근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간한 ‘2023년 글로벌 해조류 시장 보고서’를 언급하면서,
2030년까지 해조류 시장 가치는 약 15조 9천억 원(11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식품을 넘어 애완동물 사료, 바이오 섬유 및 플라스틱,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미역 등 해조류가 신규 탄소흡수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해조류 산업을 새만금에서 주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서 “최근 해일 등 자연 재난과 해양오염 등으로 인한 해조류 품질, 공급 물량 등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육상 스마트팜에 주목해야 하며 이에 대한 육상양식 연구개발 및 시설 구축 등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일본 등 해외 국가에서는 파래류 등 다양한 품종을 양식, 제품화 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김, 미역 등 종묘생산에 한정되어 있어 향후 육상 해조류 양식종의 다품종화 및 스마트 양식 기술 도입 등 여건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참석자들은 바다의 반도체로 불리는 김이 특히나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속해서 공급이 가능한 맞춤형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새만금 국가산단 내 수산 식품 수출가공단지와 연계하는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국내 김 육상 스마트팜 선도기업이 입주를 앞두고 있어 기술 이전, 다품종화 등 해조류 산업 육성에 새만금이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새만금개발청 조홍남 차장은 “최근 범정부 차원에서 해조류 블루카본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국제 인증 획득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면서, “해조류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새만금이 탄소중립과 기후 위기에 대한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서병배 기자 news@sisatop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