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 경제교육 필요하다고 응답. 경기연구원,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제시

생활 밀착형 프로그램,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교육 필요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 04. 22(화) 07:10
전세사기,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 교육 이수 필요성
[시사토픽뉴스]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금융사기 증가 등 급변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는 경제교육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경기도는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경제교육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며, 경기연구원은 그 일환으로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경기도민의 경제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연구원이 만 18~69세 경기도민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91.3%가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높은 사회적 공감대를 보였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주택매매, 대출 등) 때문’(71.5%),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67.9%), ‘경제 여건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고 있어서’(61.3%)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 및 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52.1%)도 주요한 이유로 꼽혔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으로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 온라인 매체’(57.4%),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3.0%), ‘유튜브, 누리소통망(SNS) 등 소셜미디어’(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으로 ‘사회초년생 시기(경제활동 시작 시기)’(77.0%), ‘청소년기(중․고등학생)’(70.8%), ‘대학생 시기’(52.9%)의 분포를 보여,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으로는 1+2+3순위 응답 기준 ‘저소득층’이 82.6%로 제일 높았고,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다문화가정’(38.6%) 순으로, 경제적 피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계층에 집중됐다.

실제로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은 83.0%에 달했으나, 이수 경험은 32.1%에 그쳐 경제교육의 참여 기회와 정보 제공의 확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응답자 41.7%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지식 함양’을 경제교육 기관의 목표로 꼽았다.

설문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경기도 경제교육의 전략으로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경제교육을 도출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내용을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경제교육을 구성하고,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성도 함께 제시됐다. 특히 취약계층은 경제적 피해에 상대적으로 쉽게 노출되는 만큼 경제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다. 경제교육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교육자료를 표준화하며 효과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도입하는 등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 마련도 중요하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보다 효율적인 경제교육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시사토픽뉴스 홈페이지(sisatopic.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sisatopic.com/article.php?aid=159550722010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23일 00: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