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광주광역시가 직접 나서 전면 대응해야 피해 접수를 시 전역으로 확대하고, 광주시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2025. 05. 22(목) 16:33 |
![]() 이귀순 의원 |
화재 발생 직후, 광산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피해 접수가 시작됐지만, 실제 피해는 시 전역으로 확산된 정황이 확인되고 있고, 시민들은 호흡기 질환, 두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유해 물질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귀순 의원은 “광주시의 현 대응이 지나치게 소극적이며, 자치구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안 된다.”며, “지금처럼 자치구별로 판단하고 조치하는 방식으로는 시민 전체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광주시가 직접 나서 피해 범위를 조사하고, 모든 시민의 피해 가능성을 열어두고 접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행정이 피해 확인에 소극적이면 기업도 그에 따라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이 크다.”, “광주시가 중심을 잡고 기업 측에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완전히 진화됐지만 시민들의 피해 신고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광산구청으로 지난 21일까지 화재 관련 피해 신고가 모두 4,147건으로 지난 21일 하루 동안에만 1,726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이귀순 의원은 “이번 화재는 광주시 전체의 문제이며, 광주시의 책임 있는 대응이 피해 최소화의 핵심이다.”며, “금호타이어는 광주에 몇 안 되는 핵심 앵커기업 중 하나이며, 수많은 지역 협력업체와 경제적으로 맞물려 있는 중요한 기업이다. 광주시는 시민의 건강뿐만 아니라 지역 산업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안에 대해 더욱 책임 있는 태도와 역할을 보여야 할 때이다.”고 강조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