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선국 전라남도의원 “전남형 해상풍력 사관학교로 인재 중심지 만들어야” 인재전략 없는 해상풍력은 없다… ‘전남형 교육혁신’ 시급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 2025. 11. 13(목) 13:39 |
![]() 최선국 전라남도의원 “전남형 해상풍력 사관학교로 인재 중심지 만들어야” |
전남은 국내 최대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지만,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여전히 낮고 해외 의존도가 높아 지역 산업과의 연계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최 의원은 “해상풍력은 단순한 전력 생산 산업이 아니라, 터빈ㆍ타워ㆍ블레이드 등 기자재의 국산화와 전문인력 양성이 병행되어야 하는 복합산업”이라며 “부품 제작과 유지관리 분야 중심으로 지역 기업의 기술자립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업운전 단계에 들어서면 건설 중심의 일자리에서 운영ㆍ유지보수(O&M) 관련 인력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며 “지금부터 체계적인 인력양성 기반을 구축하지 않으면 지역 청년들이 산업현장에 진입할 기회를 잃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전남도가 추진 중인 ‘해상풍력 교육센터 설립 계획’과 관련해 “단순히 교육생만 배출하는 형식적 기관이 아니라, 현장 실무 중심의 취업 연계형 전문 교육기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특히 “광주시가 AI 산업 육성을 위해 ‘AI사관학교’를 조기에 설립해 국비를 확보한 것처럼, 전남도도 국가 해상풍력 인재양성 사관학교 수준의 교육기관을 유치해 국비 사업으로 연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AI사관학교’는 광주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운영하는 대표적 인재양성 프로그램으로, 2020년 개설 이후 약 1,20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했으며 이 중 70%가 산업현장에 진출했다.
광주시는 AI 1단계 사업(2020~2024)에 4,269억 원을 투입해 산업 기반을 구축했고, 이를 바탕으로 2단계 ‘AX 밸리 조성사업’(2026~2030)에 6,000억 원을 투자해 AI산업 생태계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끝으로 최 의원은 “해상풍력은 전남의 미래 주력산업이지만, 인력과 산업생태계가 함께 성장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발전은 어렵다”며 “전남도가 건설부터 O&M까지 전 단계를 아우르는 인재양성 전략과 국비 확보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