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희, “야구장 안전사고 5년간 1,870건…정밀안전진단 미실시 구단 5곳”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2025. 08. 28(목) 08:18 |
![]()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한국야구위원회(KBO)로부터 제출받은 “야구장 안전사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203건이었던 야구장 안전사고는 2022년 351건, 2023년 434건, 2024년 558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1~7월에만 324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연말이면 600건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사고 원인별로 가장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구단을 살펴보면, 파울볼‧홈런볼 사고는 삼성라이온즈(806건), 한화이글스(289건), 기아타이거즈(194건) 순이었다. 구조물 안전사고는 SSG랜더스(15건)-한화이글스(11건)-KT위즈(8건) 순이었으며, 낙상사고는 한화이글스(27건)가 가장 많았고 두산베어스/LG트윈스(17건), SSG랜더스(14건)가 그 뒤를 이었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르면, 각 구장 관리자는 안전사고 예방차원에서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해야 한다. 이 중 유일하게 후속 보수‧보강조치가 제시되는 정밀안전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조 의원이 제출받은 국토안전관리원의 점검실시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이 진단을 한 번도 받지 않은 구단이 전체의 절반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밀안전진단 이력이 없는 구단에는 관중 사망 사고가 발생했던 NC 다이노스와 간판 낙하 사고가 있었던 한화이글스를 포함해 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키움 히어로즈가 포함된다. 이들 구단은 구장 개장일로부터 진단 의무 주기가 도래하지 않았거나 의무 대상이 아니라는 사유로 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6개월에 1회 이상 실시하는 정기안전점검은 모든 구단이 자체 점검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그 결과 보고서는 법적 평가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2~4년에 1회 이상 하는 정밀안전점검의 경우, 키움 히어로즈와 올해 새 구장을 개장한 한화이글스를 제외한 7개 구단이 법정 기준의 70% 미만인 저가로 점검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안일한 시설 안전 관리가 프로야구 ‘천만 관중 시대’의 인기와 명성을 갉아먹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KBO와 각 구단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