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평군수 초청 교육정책 간담회 |
이번 개정으로 교육지원청 설치 기준이 완화되고, 지역 특성과 행정 수요를 고려한 신설이 가능해지면서 증평은 독립된 교육행정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확보했다.
증평군은 충북에서 유일하게 독립 교육지원청이 없는 지역으로, 도시화율 83.9%에 달하는 도농복합도시임에도 괴산과 동일한 교육행정체계에 묶여 지역 실정에 맞지 않는 정책을 따라야 하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재영 군수는 “증평은 중부권 교통·산업·교육의 중심도시로 성장했지만, 교육행정만큼은 타 지역 종속형 구조에 머물러 있었다”며 “이번 법 개정으로 비로소 증평에 맞는 교육자치 실현의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군은 이재영 군수 취임 이후 학부모회 등 지역 단체와 협력한 범군민 서명운동과 캠페인을 비롯해, 충북도교육청과의 수차례 간담회, 도의회·교육부·국회 방문 등을 통해 법 개정과 예산 확보를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등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도농복합도시라는 지역 특성과 교육복지의 형평성 확보 필요성을 강조하며, 증평에 맞는 독립 교육지원청 설치의 당위성을 꾸준히 건의해왔다.
이 같은 행정적 설득과 지역 정치권과의 공조가 이번 법 개정의 원동력이 됐다.
이 군수는 “이번 결과는 군민의 염원과 행정의 끈질긴 노력이 만들어낸 결실”이라며 “교육행정 자치권 확보는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증평군은 지난해 증평경찰서 신설이 확정되며 ‘치안 자치’ 기반을 확보한 데 이어, 이번 교육지원청 설립 추진으로 행정·치안·교육의 3대 자치체계 완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이는 군민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완전한 자치도시’로의 도약을 의미한다.
군은 앞으로 충청북도교육청 및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증평교육지원청 설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부지 선정과 조직·기능 정비, 예산 확보 등 실질적인 준비 절차가 신속히 진행되도록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이재영 군수는 “교육지원청 설립은 단순한 행정 분리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아이들이 지역 안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라며 “군민과 함께 반드시 완성해 교육·행정·복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자치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2025.11.03 (월) 2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