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에 따른 행동 수칙 준수 당부 |
일본뇌염을 매개하는‘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이 모기는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정점을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이 경우 치명률이 20~30%에 이를 정도로 위험하다.
따라서,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야간 야외 활동 자제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 ▲방충망 정비와 모기장 사용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등 행동 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더불어 예방접종과 모기 차단도 필수적이다.
일본뇌염 국가 필수 예방접종은 생후 12개월 이후부터 시작되므로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하며, 관련 내용은 가까운 보건소나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올해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행동 수칙을 준수해달라”며, “국가 예방접종 대상 아동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군 보건소는 매개 모기 발생 차단을 위해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의 정화조와 직관로를 포함한 1,035개소에 2회에 걸쳐 유충구제와 월동 모기 일제 방역, 해빙기 집중 방역을 실시했으며, 이후 추가 유충구제와 성충 모기 서식지 및 인구 밀집 지역 등 취약지에 대한 방역소독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