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 |
7월 4일 경기·민생여건의 회복을 위한 2차 추경예산이 31.8조원 규모로 확정됐다. 추경예산이 빠르게 확정된 만큼, 즉시 집행에 착수한다.
정부는 전체 추경예산 31.8조원 중 20.7조원을 신속집행 관리대상으로 선정하고, 3개월 내(9월말) 85% 이상 집행을 추진한다. 이는 민생회복을 뒷받침하고, 내수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1차 추경보다 목표를 15%p 상향한 것으로, 전 부처가 총력을 다해 집행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새 정부 추경예산의 핵심 소비진작 사업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방을 더 지원한다는 원칙에 따라 국회에서 1.9조원이 증액된 만큼 지자체가 사업을 집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1차분은 7월 중 지자체에 교부를 완료하고 전 국민에게 지급을 개시한다. 2차분에 대해서도 8월 중 교부를 마쳐 9월 지급을 차질없이 뒷받침할 계획이다.
또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 구매시 구매가의 10%(최대 30만원)를 지급하는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은 8월 중 신청시스템을 구축하고, 신청분에 대한 확인을 거쳐 환급을 개시한다.(8월말) 환급시, 절차 지연이나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단계부터 철저히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영화관람, 숙박, 스포츠 시설 등 5대 분야 소비 진작을 위한 할인쿠폰은 예매처·운영사 선정 등 사전절차를 마무리하는 대로 7월 영화, 8월 숙박·공연·전시, 9월 스포츠 시설 순으로 지급을 개시한다.
아울러, 소상공인 등의 채무상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폐업 및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의 분할상환 보증을 시행하고(7~8월), 장기 연체채권 소각프로그램은 채무조정 기구 설립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여 취약계층이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임 차관은 “금번 추경은 실용정신에 입각한 효율성과 함께 속도를 핵심가치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추경이 경제 선순환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곳에 신속히 자원을 투입하여 국민의 어려움을 덜어드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추경 집행에 강한 책임감을 갖고 속도를 내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7.7일(월)부터 각 부처 신청에 따라 필요한 자금을 즉시 배정하여 집행을 시작하고, 재정집행 점검회의를 통해 부처별·사업별 집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