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창군청 |
이어 “고창군은 시민연대 측과 적극 소통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생태환경과 지역 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고창 모델을 만들어갈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고창군에 따르면 해당 단체가 문제 삼고 있는 부지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갯벌 지역을 벗어난 곳으로, 염전으로 사용됐다가 육지화되어 토지활용도가 떨어지면서 이에 따른 개발계획은 환경영향평가 등 적법한 법령 및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추진 중이다.
다만, 행정은 생태계 전반에 미칠 수 있는 간접적 영향도 자세히 살펴야 하는 만큼, 다양한 의견 수렴과 과학적 분석을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고창군은 현재도 생산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염전어가와 협력하여 스마트염전 도입 등 염전 산업의 현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군은 생태적 보전과 지역경제의 공존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함께 모색하고, 행정이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도 적극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고창군 관계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라는 위상에 걸맞는 보전과 활용이 조화롭게 이뤄져야 한다”며 “관련 인허가와 관리 과정에서 생태계 영향, 주민 의견, 지역 발전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책임 있는 행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창갯벌염전지키기 시민연대’는 고창갯벌 및 염전에 대한 고창종합테마파크 개발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간 주도의 연대체로 알려져 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