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의회 김영철 의원, “사람이 머무르지 않는 관광에서 벗어냐야”서면질문 통해 울주군 관광정책 전환 촉구
  • + 즐겨찾기
  • 2025.10.25 (토) 04:08
  •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本語 Vietnam
검색 입력폼
정치

울주군의회 김영철 의원, “사람이 머무르지 않는 관광에서 벗어냐야”서면질문 통해 울주군 관광정책 전환 촉구

울주군의회 김영철 의원, “사람이 머무르지 않는 관광에서 벗어냐야”서면질문 통해 울주군 관광정책 전환 촉구
[시사토픽뉴스]울산 울주군의회 김영철 의원(사진)이 울주군의 관광정책과 관련해 “사람이 머무르지 않는 관광지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체류형 관광으로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24일 울주군의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최근 울주군청을 상대로 한 서면질문을 통해 “울주군은 영남알프스, 간절곶, 외고산 옹기마을, 반구천 암각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할 만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쳐가는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24년 울주군 관광객은 3,582만 명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그러나 숙박 방문객은 오히려 3.8% 감소, 평균 체류시간도 7.5% 줄었으며, 1박에서 3박까지 숙박 기간도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내국인 관광소비액 6,200억 원 중 절반 가까이가 교통비에 집중돼 지역 상권으로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이제 울주군이 풀어야 할 과제는 관광자원을 단순히 ‘보여주는’ 데서 벗어나, 관광객이 머물며 소비로 이어지게 하는 정책 설계”라며 “체류형 관광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지역경제를 살리는 필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또 “전남 강진군의 ‘반값 여행’, 인천시의 ‘i-바다패스’처럼 숙박·체험·교통비 지원 등 실질적인 체류형 관광 인센티브를 울주형 모델로 도입해야 한다”며 “대규모 시설 투자보다 소비와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울주군은 답변서를 통해 “부산·경주 등 인근 관광지에 비해 인지도와 접근성이 낮고, 관광지가 넓게 분산돼 있어 체류율이 낮은 점이 원인”이라며 “숙박 인프라 부족 또한 관광객 유치의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은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개발 ▲산악 익스트림 센터 건립 ▲이천분교 베이스캠프 조성 ▲서생 해안도로 경관 명소화 ▲옹기 관광복합문화공간 조성 등 산악·해양 자원을 연계한 인프라 확충을 추진 중”이라며 “향후 지역화폐 제도 도입이 결정되면 관광소비 환급형 인센티브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모바일 스탬프 투어, 카페 투어 챌린지,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내년에는 숙박비·체험비를 지원하는 ‘울주에서 한 달 여행하기’ 사업을 통해 장기 체류형 여행 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정치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