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NMCK 현장투어 |
이날 회의에는 부산시, 유엔기념공원(UNMCK) 관리처 관계자, 국제관리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이 직접 현장 투어와 제안 설명을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유엔기념공원의 역사적 가치와 주변 지역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총회에서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이후 개발로 인해 유엔기념공원의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으나, 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규모·용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며 적극 설득했다.
시는 경관지구 해제 이후에도 지형 여건에 따라 두 개 구역으로 나누어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고, 경관 변화에 따른 경건성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 용도와 외관을 제한하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며, 상세 계획 수립 단계에서 국제관리위원회(CUNMCK)와 지속 합의를 진행할 것을 조건으로 동의를 얻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이 안장된 세계적 성지다. 현재 14개국(국제관리위원회 회원국 11개국 및 비회원국 3개국) 2천333명의 전사자가 안장돼 있으며,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평화와 인류의 희생을 기억하는 공간으로서 국제적 상징성과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1951년부터 조성된 이 묘지는 대한민국이 유엔에 영구 기증했으며,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재한유엔기념공원국제관리위원회(CUNMCK)가 관리하고 있다.
1959년 체결된 대한민국과 유엔 간 협약에 따라 농업·주거 등 묘지의 존엄성을 훼손하지 않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1971년부터 지정된 경관지구는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관지구 변경이나 완화를 위해서는 국제관리위원회의 합의가 필요하다.
지난 2021년부터 시는 유엔기념공원 주변 지역의 정비와 경관지구 조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국제관리위원회에 전달하고 협조를 요청해 왔다.
2024년 말부터 시가 관할 기초지자체와 함께 직접 합의 과정에 참여해 실무 논의를 주도하며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조건부 동의라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시는 이번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병행하는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 조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경관지구 완화와 함께 도시재생 차원의 유엔기념공원 주변 지역 관리방안을 포함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시민의 삶의 품격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6년 상반기에 남구청은 도시관리계획 입안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이후 2026년 하반기부터는 시에서 도시관리계획 결정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시는 이번 성과가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 부산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주변 도시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국제관리위원회는 조건부 동의와 함께 “대한민국의 경제적 번영과 지역의 발전은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참전용사들이 바친 희생의 가치를 증명하는 산 증거라는 데 깊이 인식하며, 본 계획이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뜻을 더욱 빛내는 방향으로 추진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은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평화의 상징이며, 이번 합의는 그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중요한 계기다”라며 “국제관리위원회(CUNMCK)와의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주거 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10.27 (월) 2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