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방제훈련 |
이번 훈련은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됐다. 서울교통공사 신답별관 강당에서의 이론교육과 청계천 하류에서의 현장 실습훈련으로 진행됐으며,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통해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에 목적을 두었다.
시는 이를 통해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상황전파와 초동대처 능력을 강화하고 유관기관 간 협업 기반의 오염 확산 방지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최근 5년간 하천에서 발생한 수질오염사고는 총 39건으로, 이로 인한 어류폐사 등 환경피해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연도별 사고 발생 현황은 2020년 8건, 2021년 14건, 2022년 7건, 2023년 4건, 2024년 6건으로 집계됐다. 시는 이러한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체계적인 방제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 유관기관과 함께 실전과 같은 훈련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훈련에는 서울시 및 자치구 담당자를 비롯해 미래한강본부, 서울아리수본부, 서울시설공단, 한국환경공단,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등 약 70명이 참여했다.
서울시는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대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무담당자가 전문적인 대응 방법을 체계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훈련은 먼저 이론교육을 통해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상황전파와 사고유형별 맞춤형 대응 방법 등에 대해 교육했다. 한국환경공단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유류·유해물질 종류 및 다양한 현장 여건에 따른 맞춤형 사고 대응 방법과 국내·외 수질오염사고 방제사례 등을 교육했다.
현장 훈련은 차량 교통사고로 인해 유류가 하천으로 유입된 상황을 가정하여 ▸사고 접수 및 상황전파·보고 ▸현장조치반 투입 및 원인·피해 상황 등 조사 ▸오일펜스·오일붐 설치, 흡착포 살포 등 초동방제조치 ▸시료 채수 및 현장수질측정 ▸현장정보 수시 보고 및 전파공유 ▸방제 후 폐기물 처리 순서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3개 반으로 나누어 방제장비 사용 방법 숙지, 오일펜스 설치 및 흡착포 살포, 시료 채수 및 수질 측정 방법 실습을 순환하면서 실시해 현장 대응의 이해도와 훈련 효과를 높였다. 서울시는 훈련 결과를 토대로 수질오염사고 대응 개선대책을 도출하고 향후 재난 대비 태세를 더욱 철저히 한다는 계획이다.
정성국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사고는 시민 안전과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훈련을 통해 신속한 사고 수습과 피해 최소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라며 "앞으로도 반복적인 재난 대응 훈련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질 환경을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