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사회서비스원, 아동돌봄종사자 워크숍 통해 현장 회복과 돌봄 품질 강화
  • + 즐겨찾기
  • 2025.10.20 (월) 22:29
  •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本語 Vietnam
검색 입력폼
익산시

충남사회서비스원, 아동돌봄종사자 워크숍 통해 현장 회복과 돌봄 품질 강화

‘쉼과 성장의 2박 3일’ 제주에서 돌봄 소진 예방과 회복을 위한 치유의 시간

제주에서 돌봄 소진 예방과 회복을 위한 치유의 시간
[시사토픽뉴스]충남사회서비스원 온종일아동돌봄통합지원단은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2박 3일간 제주도 일원에서 ‘마음에 여유를, 현장에 새로운 시선을’ 이라는 주제로 2025 아동돌봄종사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아동돌봄 공백 해소와 아동돌봄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는 중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도내 365×24 아동돌봄 거점센터 13개소, 아침돌봄 사업기관 8개소, 맞춤형 컨설턴트 5명이 함께 참여하여 장기간 지속된 돌봄 업무로 인한 종사자들의 피로를 회복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충남형 아동돌봄체계의 중장기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날 프로그램은 ‘쉼과 회복’을 주제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제주 세화마을을 방문해 지역 문화와 공동체의 가치를 체험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문화를 직접 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해녀들의 고된 노동과 공동체적 삶의 이야기를 들으며, 참가자들은 “서로를 돌보며 버텨온 해녀들의 연대 속에서 돌봄의 본질을 느꼈다”며 깊은 감동을 나누었다.

이는 곧 ‘누군가를 돌보는 일은 나와 공동체 모두를 지키는 일’이라는 돌봄의 메시지로 이어졌다.

이튿날에는 ‘충남 아동돌봄사업 중장기 계획 워크숍’이 열렸다.

참가자들은 분임별 토의와 퍼실리테이션을 통해 돌봄의 실행방안을 구체화 했다.

특히 아동돌봄현장의 경험을 서로 나누며 실천과제를 도출해냈으며, 돌봄 품질 향상과 종사자 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마지막 날에는 전국 최초로 학교 공간을 활용해 시행되고 있는 제주형 주말돌봄교실 아라초등학교의 ‘꿈낭교실’을 방문해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했다.

참가자들은 지역과 학교, 돌봄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운영방식을 확인하며, “충남에서도 아이 중심의 돌봄이 실현될 수 있도록 현장 실천을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워크숍에 참여한 한 아동돌봄 종사자는 “매일 아이들을 위해 달려오다 보니 스스로를 돌볼 여유가 없었는데, 이번 워크숍을 통해 마음의 쉼표를 얻었다.”며 “서로의 노고를 공감하고, 다시 현장으로 돌아갈 힘을 얻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회복과 배움이 함께 이루어지는 이런 기회들이 자주 만들어져 아동돌봄현장이 더욱 활기있어 지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충남사회서비스원 김영옥 원장은 “아이를 돌보는 사람들의 회복이 곧 아동 돌봄의 질을 결정한다.”며 “이번 워크숍은 타 기관 종사자 간 연대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돌봄의 가치를 재정립하는 소중한 계기였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충남형 아동돌봄체계가 전국의 모범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충남사회서비스원 온종일아동돌봄통합지원단은 이번 워크숍 결과와 만족도 조사 의견을 바탕으로 2026년 아동돌봄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아동돌봄시설 및 종사자 지원 중심의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