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지) 정책브리프_67호_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의 인식과 정책 방향 |
전북연구원은 6일 전북지역 20~44세 청년 1,0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전북 청년의 결혼·출산·양육 인식 및 정책 수요 조사 연구’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토대로 한 저출생 대응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조사 결과, 응답 청년들의 72.2%가 결혼은 해야 한다며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이상적인 결혼 연령은 남성 32.9세, 여성 31.2세가 적당하다고 반응했다.
결혼 의향이 있으나 미혼인 이유로는‘적당한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38.5%)’가 가장 많았다. 결혼을 결심할 수 있는 주요 조건으로는‘주거비용 지원(27.9%)’과‘만족할 만한 일자리 확보(26.0%)’를 꼽았다.
출산에 대해서도 전향적 입장을 나타냈다. 청년들의 70.1%는 ‘자녀는 있어야 한다’고 응답했고, 이상적인 자녀 수는 1.82명이었다. 그러나 기혼을 제외한 미혼 청년의 38%는‘출산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 이유로는 임신·출산·양육의 어려움(21.8%)과 양육·교육비 부담(16.1%), 일·가정양립의 어려움(12.7%) 등을 들었다.
전북 청년들은 이외에도 저출생 원인으로‘양질의 일자리 부족(22.1%)’,‘높은 주거비 부담(14.5%)’등을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대안으로‘안정적 일자리 확충(20.4%)’,‘내 집 마련 지원(18.7%)’, ‘일·양육 병행지원(15.7%)’의 시급성을 지적했다.
전북연구원은 이번 청년 인식과 정책 수요 조사를 토대로 ▲청년의 결혼 접근성 제고 및 관계 형성 지원 ▲안정적 일자리와 주거 기반 마련 ▲양육 및 돌봄 지원 확대와 일·가정양립 환경 조성 ▲생애주기별 생식건강 및 임신·출산 지원체계 강화 ▲성평등한 양육 환경 조성과 다양한 가족형태 수용 등 5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특히 단순한 출산장려금 중심 정책으로는 출산율 반등에 한계가 있으며, 청년 세대의 가치관 변화에 기반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이주연 책임연구위원은 “청년층은 결혼·출산을 개인의 선택과 삶의 질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왜 하지 않는가’가 아닌 ‘어떤 조건이면 할 수 있는가’를 드러냈다”면서 “정책 설계 초기부터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 결혼과 출산 및 양육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2025.11.06 (목) 14: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