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시민 20~50대는 오창읍, 60대 이상은 성안동서 문화소비” |
인포그래픽은 시민들에게 복잡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센터에서 직접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달부터 센터는 CHERiNFO(체리인포)라는 명칭으로 인포그래픽을 매월 발간한다.
제1회 CHERiNFO는 청주시가 제공한 카드소비 내역(BC카드)을 기반으로 분석됐다. 데이터는 2024년 한 해 동안 약 62만 명의 카드소비 내역을 연령별, 업종별, 지역별로 구분해놓았다.
개인정보 방지를 위해 소비패턴으로 추적 가능한 자료는 제외하고 제공되어 실제 수치와는 경미한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이를 통해 청주시 주요 소비지역 파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업종은 대분류 △T·E(Travel Entertainment)·문화 △생활·음식 △쇼핑·유흥 △내구재·기타로 구분돼있다.
연령대별 분석한 결과, T·E·문화 주요 소비지역은 20·30대 ‘오창읍’, 40·50대 ‘오창읍’, 60대 이상 ‘성안동’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모든 연령대는 율량·사천동에서 T·E·문화 관련 소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음식 주요 소비지역은 모든 연령대가 ‘오창읍’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0·30대, 40·50대는 복대동, 60대 이상은 ‘성화·개신·죽림동’에서 생활·음식 관련 소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유흥 주요 소비지역은 20·30대와 40·50대는 ‘복대동’, 60대 이상은 ‘강서2동’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비액이 높은 지역은 20·30대, 40·50대는 ‘강서1동’, 60대 이상은 ‘가경동’이었다.
‘가경동’은 20·30대, 40·50대도 세 번째로 소비액이 많은 지역이었다.
한편 내구재·기타 주요 소비지역은 20·30대 ‘모충동’, 40·50대 ‘율량·사천동’, 60대 이상 ‘우암동’으로 나타났다.
결과 전반을 요약하면, 시민들은 주로 ‘오창읍’에서 T·E·문화, 생활·음식을 소비했으며, 쇼핑·유흥은 주로 ‘복대동’, ‘강서1동’ 등 원도심에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중 ‘오창읍’은 방문객들의 소비액도 높은 지역이었다.
내구재·기타는 연령별로 뚜렷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점포현황(점포 수 및 폐업률)도 함께 살펴본 결과, 소비액에 따라 해당 지역 점포 수는 비례했으며, 상대적으로 소비가 낮은 지역의 폐점률은 높았다.
다만, 점포 수가 많다고 해서, 모든 연령대 소비액이 높은 것은 아니었으며, 특정 연령대 소비액이 두드러진 경우도 있었다.
원광희 연구원장은 “이번 인포그래픽을 통해 연령대별, 소비업종별 지역이 뚜렷이 다르다는 점과 지역별 점포 유지를 어떠한 연령대가 견인하고 있는지 명확히 파악했다”고 밝혔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