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덕리 고분군 3호분 |
고창 봉덕리 고분군 3호분의 학술조사는 2019년 분정부(墳頂部)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으로 모두 6차례에 걸쳐 시굴 및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3호분의 규모는 동-서 약 70m, 남-북 약 80m로 현재까지 알려진 마한의 분구묘 중 가장 크다.
발굴조사는 서사면 일부에 대해 실시하여 분구의 축조기술과 통나무관, 옹관묘, 주거지 등을 확인하였다.
이번 2차 발굴조사는 3호분의 축조 방법 및 시기, 매장주체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남쪽사면부에 대해 진행했다.
봉덕리 고분군 3호분 발굴성과
3호분의 발굴조사 결과, 2차례 이상 분구를 축조하였던 것을 확인하였다.
1차 분구는 기원후 3~4세기를 전후한 시점으로 자연 구릉에 낮은 분구묘로 확인된다.
분구 내부에는 토광묘 및 옹관묘 등을 매장하였으며, 도랑(周溝)을 굴착하였다.
2차 분구는 5세기 중후반을 기점으로 고분을 높게 쌓았는데 분구의 중앙을 격자망으로 회백색, 흑갈색의 점토 덩어리로 구획하여 쌓은 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분구는 약 2.5 부터 3m 내외의 폭으로 격자망 구획을 한 다음 점토덩어리를 구획 경계로 삼고 약 4m 내외로 수직으로 쌓아 올려 대형의 고분을 축조하였다.
또한, 분구 둘레는 도랑(周溝)을 굴착하여 고분의 경계로 하였으며. 분구 끝자락에는 토기 1 에서 3점씩 매납한 것이 확인되었다.
봉덕리 고분군 3호분 축조시기와 의미
3호분의 1차 분구 축조 시기는 토광묘에서 출토된 이중구연호, 양이부호 등의 토기를 볼 때, 기원후 3 에서 4세기로 판단된다.
2차 분구 축조 시기는 성토과정에서 확인된 토기편과 주구 안쪽에서 매납된 호형토기 및 장경호 등을 통해 기원후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3호분의 발굴조사 결과 분구가 거대화되는 과정에서의 무덤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1호분의 성과와 더불어 마한 분구묘 중 가장 큰 규모인 3호분의 운영 기간 등으로 볼 때 마한 50여 소국 중 ‘모로비리국’의 중심 세력의 묘역임은 분명하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이번 봉덕리 고분군 3호분의 2차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 최대 분구묘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사적 확대 지정을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 역사문화환경 정비육성 선도사업 공모 선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