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의회 고덕희 의원, 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천원택시’ 강력 촉구
검색 입력폼
정치

고양시의회 고덕희 의원, 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천원택시’ 강력 촉구

교통 사각지대 실태 지적…실질적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정책 전환 강조

고양시의회 고덕희 의원
[시사토픽뉴스]지난 28일, 제294회 고양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고양특례시 곳곳의 교통 사각지대와 그로 인해 고립된 시민들의 일상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마 위에 올랐다. 고양특례시의회 고덕희 의원(국민의힘, 식사동‧풍산동‧고봉동, 건설교통위원회)은 본회의에서 마을버스와 똑버스(DRT)의 실효성을 비판하며, ‘고양형 천원택시’ 도입을 강력히 촉구했다.

고 의원은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누군가에게는 넘기 힘든 장벽”이라며, “교통 복지에서 소외된 시민들의 기본적인 이동권이 제도 내에서 외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양시에서 운영 중인 18개 마을버스 업체 중 15개가 적자 상태다. 시는 이 적자의 97%를 보전하고 있으며, 연간 보조금만 100억 원이 넘는다. 고 의원은 “막대한 예산 투입에도 교통 사각지대 주민들의 불편은 여전하고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 의원은 이어 교통 소외지역의 문제점도 구체적으로 짚었다. 그는 “배차 간격이 1시간 이상인 지역이 13곳, 100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곳도 3곳이나 된다”며, “버스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교통 사각지대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은 행정의 착시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가 교통 복지 대안으로 운영 중인 똑버스(DRT)에 대해서도 “앱 설치와 사전 예약 등 복잡한 이용 절차로 인해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게는 실질적인 이동 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정책적 한계를 지적했다.

이에 고 의원은 해결책으로 ‘고양형 천원택시’ 도입을 제시했다. 그는 “고양시 내 교통 소외지역 20곳을 기준으로 하루 500명이 천원택시를 이용할 경우, 연간 예산은 약 12억 원 내외로 가능하며, 막대한 예산 투입 없이도 실질적인 이동권 보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119개의 지자체가 행복택시, 희망택시, 백원‧천원택시 등을 통해 교통 불편 해소와 예산 절감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며, 타 지자체의 성공 사례를 강조했다.

고 의원은 “이제 고양시도 교통 인프라가 없는 곳에 실질적으로 닿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특히 자연부락과 같은 수요가 적은 지역에는 천원택시가 최적의 교통 복지 대안”이라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철저한 실태조사와 주민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고양형 천원택시’가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집행부의 전향적 검토와 적극적 도입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정치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